아래의 내용은 윈도우용 앱 (Kindle for PC)를 설치해서 사용할 때, 미국의 아마존 계정과 일본의 아마존 계정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검색하고 레딧에서 찾은 정보를 번역 및 시도해 본 내용입니다.
예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썼던 글에서 윈도우11의 변경된 계정 추가 부분과 복잡하게 설명한 부분을 가능한한 간단하게 수정 및 업데이트하였습니다.
글 목록
1️⃣ 설정에 필요한 정보 확인
2️⃣ 킨들 설치
3️⃣ 윈도우11 기준 다른 사용자 추가 방법
4️⃣ 윈도우의 “runas” command(명령어)를 활용한 앱 추가 설치
5️⃣ 동시에 실행한 하나의 앱 확인
6️⃣ 출처
1️⃣ 설정에 필요한 정보 확인
시스템 정보에서 컴퓨터 이름과 새로 추가할 사용자 아이디 정보가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에서는 편의 상
컴퓨터 이름은 “DOYOON”
새로 추가할 사용자 아이디는 “Amazon-JP”로
쓰겠습니다. 추가하는 아이디는 일본 아마존 계정을 위한 것입니다.
🔍 컴퓨터 이름 확인 방법
윈도우 시작(윈도우 로고 모양) 버튼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시면, 뜨는 팝업 메뉴에서 영문 윈도우 System, 한글 윈도우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 이 아래로 나오는 스샷들은 윈도우11 22H2 버전에서 작업한 것으로 버전에 따라서 좀 다르게 보일수 있습니다.
🔍 시스템 정보 중 [컴퓨터 이름]을 확인해 주세요
설정 > 시스템에 아래 스샷 빨간 네모 부분에 있는 것이 컴퓨터 이름입니다.
2️⃣ 킨들 설치
📥 다운로드
킨들 앱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위의 스샷에서와 같이 “Download for PC & Mac”을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가급적 어떤 앱을 다운받으실 때는 그 앱을 제공하는 회사 홈페이지에서 좀 느리고 번거롭더라도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세요.
가끔이기는 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 다운 받으신 경우에, 해킹을 위한 앱이거나 쓸데없이 필요없는 앱을 추가로 설치하게 만드는 앱들이 있습니다. 그런 것들은 언제나 문제가 되기 때문에 한글이 아닌 언어의 앱을 설치하실 때, 설령 그것이 안전함 그 자체라고 하더라도 잘 확인해 보시고 설치하셔야 합니다.
https://www.amazon.com/b/ref=ruby_redirect?ie=UTF8&node=16571048011
🪛 킨들 설치
다운로드 받으신 파일을 실행하셔서 일단 설치해 주세요.
설치가 완료되시면, 아래 스샷과 같이 실행됩니다.
저 화면에 입력하라는 저 문구 입력하실 필요없습니다.
위의 스샷에서 아랫부분을 보시면, 아래 스샷과 같이 어떤 아마존 계정으로 사용하실 것인지 선택하도록 나옵니다. 윈하시는 아마존 사이트 클릭하시면 로그인 창이 뜹니다. 저의 경우엔 amazon.com 으로 로그인 하였습니다.
로그인 하시면, 해당되는 계정의 아마존에서 구입한 eBook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두번째 설치 및 설정은 5️⃣번 내용에 있습니다.
✏️ 파일명을 바꿔 주세요
2022년11월16일 현재 다운로드 받으시면, 파일 명은 “KindleForPC-installer-1.39.65323.exe”이렇습니다. 뒤에 있는 숫자들은 대개 버전을 의미합니다.
위의 파일명을
“Kindle.exe” 또는 “k.exe” 정도로 변경해 주세요
이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 파일명을 직접 입력하셔야 됩니다. 진행 중에 실수하셔서 잘 못 입력하시면, 또 입력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하기 편하도록 간단한 이름으로 파일명을 바꿔 주세요
파일명을 바꿔주는 이유 또 하나는 이미 설치한 파일을 다시 실행할 경우에 윈도우에 남아 있는 설치 중에 생긴 파일들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름 변경은 파일을 선택하시고 단축키 F2(이름 바꾸기)를 클릭하시면, 이름을 바꿀 수 있도록 이름에 블록이 만들어 집니다.
📂 파일 이동
관련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서 하드 드라이브가 하나 이신 분은 C드라이브의 제일 위에 이 파일을 이동 또는 복사해 주세요.
저는 위의 스샷과 같이 D드라이브 Root Directory(루트 디렉토리), 최상위 디렉토리에 이동 시켰습니다.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문화어: 뿌리등록부)는 주로 유닉스와 유닉스-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개념인데,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서 계층 구조의 첫번째 또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트리 구조의 줄기에 비유할 수 있는데, 모든 가지들이 뻗어 나오는 시작점의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보편적인 하드 디스크와 운영 체제를 갖춘 환경에서 C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는 C:\이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D%8A%B8_%EB%94%94%EB%A0%89%ED%86%A0%EB%A6%AC
3️⃣ 윈도우11 기준 다른 사용자 추가 방법
😊 다른 사용자 추가
※ 추가하는 계정은 로그인 없이 윈도우에서 비번 입력 후 사용하기 위한 계정이므로, 계정의 가족 그룹 관리에서 사용자를 추가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로 추가합니다.
아래 스샷은 윈도우 설정 내에 있는 계정 화면에서 스크롤하시면 나오는 것입니다.
빨간 네모의 다른 사용자를 클릭하세요.
계정 설정에 아래 핑크 색 버튼인 “계정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팝업 창이 뜹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인 창 및 계정 관련 약관 확인 창
여기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을 하는 계정을 따로 만들지 않고 사용하시는 PC에서만 쓰는 로컬 계정을 만들 것이므로, 아래 창에서 빨간 네모에 있는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계정 관련 약관을 확인하는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아래 빨간 네모에 해당하는 자세히 버튼을 누르시면, 각각의 약관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약관을 확인하신 후, 아래 스샷의 위에 있는 뒤로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약관 체크가 둘다 되면, 동의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됩니다.
“동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그런 다음, 아래 화면에서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 부분을 클릭하세요
💻 로컬 계정 만들기
다음 화면에서 사용하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시고, 보안 질문 세가지를 작성하신 후, 다음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계정이 추가됩니다.
4️⃣ 윈도우의 “runas” command(명령어)를 활용한 앱 추가 설치
⌨️ cmd(Command Prompt, 명령 프롬프트) 실행하기
실행 창 단축키(윈도우키 + R)를 클릭하시면 나오는 창에서 바로 cmd라고 입력하시고, 엔터키를 누르세요.
⌨️ Command Prompt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여기서 편의를 위해서 아래 창과 같이 C의 상위 폴더로 이동하실 때는 “cd /”라고 입력하신 후 엔터키를 누르시면 이동하며, 화면에 나와있는 정보를 깨끗이 지우실 때는 “cls”라고 입력하신 후, 엔터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cls (clear screen, 기존에 입력한 내용을 깨끗이 없애주는 명령어)
runas 명령어
간단한 사용법
runas /user:컴퓨터이름\사용자 아이디 [설치할파일 경로와 파일명]
runas /user:DOYOON\Amazon-JP d:\k.exe
위의 스샷과 같이 입력하시고, Enter키 입력하시면,
Amazon-JP의 비밀번호 입력하라는 창이 뜹니다.
아이디 만드실 때, 입력하셨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이 비밀번호 입력 창이 생소하실 수 있습니다. 입력하는 동안 점점점이 안찍힙니다.
비밀번호 입력 다 하셨으면, 마지막에 Enter키만 눌러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두 번째 킨들 설치가 시작됩니다.
이번에는 C:\users\Amazon-JP 아래로 킨들이 설치됩니다.
설치가 완료되고 킨들이 실행되면, 이번에는 아래 옵션에서 두 번째 아마존 계정의 주소를 선택해 주세요.
선택하시고 로그인 하시면, 두 번째 아마존 계정도 설치가 완료된 겁니다.
단, 아직 다 끝나지 않았습니다. 앱의 바로가기를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5️⃣ 동시에 실행한 하나의 앱 확인
⚙️ 바로가기 만들기 및 복사, 붙여넣기
이제 앱을 실행할 때, 두 개의 앱을 따로 실행하기 위한 바로가기를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기존에 쓰던 킨들은 그냥 사용하시면 되고요.
바탕화면에 이미 킨들 바로가기가 있으시면 Ctrl + C, Ctrl + V 하시고 설정만 바꿔 주시면 됩니다.
바로가기가 없으신 분은 만들어 주시고 역시 Ctrl + C, Ctrl + V해 주세요
저는 아래 스샷과 같이 만들었습니다.
US Kindle의 아이콘의 속성 화면에서 아이콘 변경으로 구분해 준 것입니다.
⚙️ 바로가기의 속성 수정
JP Kindle 바로가기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속성을 클릭하시고 대상 옆에 아래 빨간색으로 네모친 부분의 내용만 변경하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바로 대상 부분에 명령어를 작성하시면, 혼동될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과 같이 메모장에 명령어를 작성하신 후,
컴퓨터 이름과 아이디 부분이 정확하신지 확인하신 후에 대상에 붙여 넣기 하시고, “적용” 클릭하세요
그냥 OK 클릭하시면, 가끔 적용이 안될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용”을 클릭하고 확인해 주세요.
C:\Windows\System32\runas.exe /user:DOYOON\Amazon-JP C:\Users\Amazon-JP\AppData\Local\Amazon\Kindle\application\Kindle.exe
DOYOON 부분이 여러분의 컴퓨터 이름
Amazon-JP가 여러분이 추가하신 사용자 이름입니다.
컴퓨터 이름은 한 군데, 사용자 이름은 두 군데 수정하셔야 합니다.
저는 시작위치와 단축키 부분은 삭제하였습니다.
✅ 최종 확인
혹시 킨들을 둘 다 열어 놓은 상태이시면, 닫으시고 다시 실행해서 확인해 보세요
기본 버전은 그냥 실행되지만, 추가로 설치한 킨들은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창이 뜹니다.
이 부분에 실행하실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럼 깔끔하게 실행됩니다! 😍